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51

1 닷트윈(DoTween) 1. 이동 > DOMoveX(위치,시간,bool값) 본인 위치에서 x 좌표를 + 5를 주었고, 3초동안 이동. 디폴트 bool값은 false이므로 0.0x같이 소수점 단위로 이동함 true로 주면 raw처럼 1,2,3같이 정수 단위로 이동 1-2 UI에도 적용이 되는가 테스트 직전에 using에 UnityEngine.UI를 추가해주고 만일 Text 컴포넌트가 있을 시 다른 스크립트가 실행되도록 함. 2 이동 > DOLocalMoveX(위치,시간,bool값) Local범위를 기준으로 이동함 3 회전 > DORotate(회전할 Vector3, 시간) 그냥 x축 180도, z축 90도 회전하게끔 해봤더니 별도의 설정 없이 알아서 돌아간당... 4 크기 DOScale(크기,시간) 의도한 대로 , scale이 5.. 2023. 9. 18.
백준#19532 2023-09-15 https://rightbellboy.tistory.com/210 string[] puts = Console.ReadLine().Split(); int a = int.Parse(puts[0]), b = int.Parse(puts[1]), c = int.Parse(puts[2]); int d = int.Parse(puts[3]), e = int.Parse(puts[4]), f = int.Parse(puts[5]); int y = (c * d - a * f) / (b * d - a * e); int x = (c * e - b * f) / (a * e - b * d); Console.Write($"{x} {y}"); 참고해서 하였는데, 크래머의 규칙.......................... ㅎㅎㅎㅎㅎㅎㅎ.. 2023. 9. 15.
백준#2231 2023-09-13 int put = 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 int result = 0; for(int i = 0; i 2023. 9. 13.
백준#24313 2023-09-12 string[] fx = Console.ReadLine().Split(); int y = 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 long n = 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 /* string[] fx = new string[] {"100","100"}; int y = 100; long n = 100; */ long a = int.Parse(fx[0]) * n + int.Parse(fx[1]); long b = y * n; int result = a = int.Parse(fx[0]) ? 1 : 0; Console.Write(result); https://velog.io/@gayeong39/%EB%B0%B1%EC%A4%80-24313-%EC%95%8C%EA%B3%A.. 2023. 9. 13.